Blog Content

    티스토리 뷰

    최근 일본에서 핫한 라인 모바일 요금에 대해서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Idealism입니다.




    저번 통신사 가입 포스팅에서 말씀 드렸다시피,


    일본은 우리나라와 다르게 중소 통신사도 엄청 많고 속도 또한 잘나오는 편이기 때문에 



    구지 메이저 3사(도코모, 소프트뱅크, au)를 가입하지 않아도


    잘만 찾으시면 저렴한 가격에 빠른 속도로 휴대폰을 이용하실 수 있답니다.



    통신사의 종류는 셀수 없이 많고 거의 매달 할인 프로모션을 하는데요.


    그 중 요즘 저렴한 가격으로 현지인과 외국인에게도 인기 있다는 



    라인 모바일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어떤 회사?



    네 맞습니다. 여러분이 생각하시는 메신저 라인을 개발한


    네이버 일본 법인 라인의 소유입니다.


    그 회사에서 서비스를 시작한 모바일 서비스라고 보시면 됩니다.







    속도?



    이건 현재 제가 다른 회사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알려드릴 수 없지만


    지인의 말을 들어보면 사용량이 많은 평균 시간(평일 저녁 7~10시, 주말)에는


    우리나라의 3g 정도의 속도이고 


    평균 속도는 무리 없이 사용할 4g 속도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건 일본에서 어느 통신사에 가입하시든 비슷합니다.


    자신의 거주지(도시 중심 또는 외곽)에 따라 속도도 현저하게 달라집니다.


    (최근 라인 모바일은 가입자가 폭등하여 조금 느려지고 있다는 느낌도)










    추천 요금제




    커뮤니케이션 플랜



    기본 요금 1,110엔부터 시작




    3GB, 5GB, 7GB, 10GB 플랜이 있음




    카운터 프리 대상 서비스 


    Instagram, Twitter, Facebook, LINE









    카운터 프리란?




    일본은 기본 제공되는 데이터를 모두 사용해도 



    通信規制中(통신규제중)



    이라는


    문구와 함께


    계속해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으나 속도는 현저하게 느려지는(메신저 이용만 가능한 정도)


    휴대폰 요금제가 일반적입니다.





    카운터 프리


    제공된 데이터를 모두 사용해도 


    카운터 프리 대상 서비스에 포함되어 있는 SNS를 사용할 때 속도가 느려지지 않으며


    평소의 속도와 함꼐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는 의미입니다.



    10~30대 고객들에게는 정말 좋은 요금제겠죠?


    그래서 인기있나 봅니다.








    요금 정보




    데이터+메시지만 사용하는 요금제와 


    데이터+음성통화+메시지 요금제가 나누어져 있네요.


    音声通話(음성통화)


    요금이 


    데이터+음성통화+메시지 요금제입니다.





    3GB로


    텍스트 메시지 약 198,000회


    홈페이지 접속 약 9,900회


    유튜브 영상 재생(360p, 4MB) 


    약 12시간을 사용할 수 있다고 나오네요.





    10GB+음성통화 포함이 월 3,220엔 정도라면


    정말 저렴하네요!?








    가입 방법




     온라인은 우리나라와 비슷한 방식으로


    라쿠텐, 아마존, 야후 등에서 ラインモバイル로 검색하셔서


    요구 서류를 보내고 


    SIM 카드를 배송받아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오프라인


    에디온, 조신, 빅카메라, 요도바시 카메라


    휴대폰을 판매하고 있는 전자 상가에 점포가 입점해 있으므로


    방문하시면 됩니다.



    외국인도 재류카드만 있으면 쉽게 가입할 수 있으며,


    약정 기간은 1년부터 시작합니다.



    요금 결제 방식은


    신용카드, 통장 자동이체가 있습니다.


    (편의점 결제 불가)






    이상 라인 모바일에 대하여 알아봤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