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Content

    티스토리 뷰

    일본의 연봉대비 월급 실수령액은 얼마나 될까? 실수령액을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Idealism입니다.


    현재 일본에서 직장 2년차에 접어들었는데.... 일본은 정말이지... 세전 월급에서 공제되는 금액이 많기 때문에

    실수령액보면 한숨만 나오시는 분들 많으실겁니다(저뿐만이 아니라 일본에 취직하고 계신 모든 분들이..)


    그래서 오늘은 일본에서 취업했을 때 연봉대비 받게되는 평균 실수령액을 준비해봤습니다.


    먼저 일본에서 취업시 받게되는 연봉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죠.





    봉(세전)= 기본급 + 잔업비(초과근무 및 노동시간 외 근무) + 기타 수당(, 출장, 인센티브, 월세 지원비 등)





    일본의 기업은 고용인(정사원, 계약직, 알바 전부)에게 잔업비와 교통비를 반드시 지급하도록 법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연 2회 인센티브와 월세 지원은 자유입니다. 취업이 아닌 식당이나 편의점 등 아르바이트만 하시더라도 

    최저시급 미만과 교통비 미지급은 위반이니 아르바이트 찾으실때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보통 중기업 이상(기업마다 상이) 입사하게 되면 대부분 월세지원과 인센티브(보통 연 2회)도 지급받습니다.   

    (물론 지키지 않는 기업도 많죠, 일명 블랙기업. 네... 제가 블랙기업 다닙니다...)


    다음 연봉에서 공제되는 목록을 알아보자면,






    연봉(세전) - 건강보험 - 개호보험 - 후생연금 - 고용보험(헬로워크) - 소득세 - 주민세 = 실수령액(세후)






    이렇게 총 6종류 정도 빠지는데... 이게 우리나라와 비교에서 금액이 어마무시 하답니다....(총 월급의 30~40% 정도)


    공제되는 금액은 대부분 우리나라와 비슷하지만


    여기서 특히 설명드릴 부분은 '고용보험'과 '개호보험'입니다. 고용보험을 주관하는 '헬로워크'는 일본의 노동청 산하의 취업지원센터이며


    회사 입사 후 고용보험료를 12개월 이상 납부하게 되면 일정 기간동안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자격이 생깁니다.

    (일본은 우리나라와 다르게 일반 퇴직이나 이직의 경우에도 받으실 수 있습니다!! 고용보험은 나중에 따로 다루겠습니다.)


    '개호보험'은 40세 이상이 가입하는 의무 보험이며, 40세 이상 간병 서비스를 받기위한 보험으로써, 건강보험료와 함께 공제되고 

    40세 이전까지는 가입하지 않으므로 그냥 무시하시면 됩니다.


    어떤 것들이 공제 되는지 알아봤으니 이제 금액별 평균 실수령액을 알아볼까요?



    (출처:https://ten-navi.com/hacks/)



    2017년 하반기 기준 15만엔부터 60만엔(월급)까지 대비 실수령액이며, 빨간 박스 부분이 부양가족없이 혼자일 경우 받는 금액입니다.

    월급이 높아질수록 공제되는 금액도 높아진답니다. 또한 부양가족수에 따라 실수령액이 달라집니다.

    (일본은 부양가족이 많을수록 실수령액이 늘어난답니다!!)


    일본 현재(2017년 하반기 기준) 신입사원의 월급 평균은 20만엔 ~ 25만엔이므로 참고하세요.














     




     

    Comments